반응형
1. 한국의 24절기 (二十四節氣)란?
24절기는 태양의 움직임을 기준으로 한 전통적인 달력 체계로, 1년을 24등분하여 계절의 변화를 보다 세밀하게 반영한 것입니다. 중국에서 기원하여 한국과 일본 등에서도 사용되었으며, 농경사회에서 농사 일정과 일상생활을 조절하는 중요한 기준이 되었습니다.
2. 24절기의 구성
24절기는 크게 4계절(봄·여름·가을·겨울) 로 나누어 각 계절마다 6개의 절기가 있습니다.
① 봄 (입춘~ 곡우)
- 입춘(立春, 2월 4일경) – 봄이 시작되는 날
- 우수(雨水, 2월 19일경) – 눈이 녹고 비가 내리기 시작
- 경칩(驚蟄, 3월 5일경) – 개구리가 겨울잠에서 깨어남
- 춘분(春分, 3월 20일경) – 낮과 밤의 길이가 같아짐
- 청명(淸明, 4월 4일경) – 날씨가 맑고 밝아짐
- 곡우(穀雨, 4월 20일경) – 농사를 위한 비가 내림
② 여름 (입하~ 대서)
- 입하(立夏, 5월 5일경) – 여름이 시작됨
- 소만(小滿, 5월 21일경) – 만물이 점점 성장함
- 망종(芒種, 6월 6일경) – 씨뿌리기에 적합한 시기
- 하지(夏至, 6월 21일경) – 낮이 가장 긴 날
- 소서(小暑, 7월 7일경) – 더위가 시작됨
- 대서(大暑, 7월 23일경) – 일 년 중 가장 더운 시기
③ 가을 (입추~ 상강)
- 입추(立秋, 8월 7일경) – 가을이 시작됨
- 처서(處暑, 8월 23일경) – 더위가 한풀 꺾임
- 백로(白露, 9월 8일경) – 이슬이 맺히기 시작
- 추분(秋分, 9월 23일경) – 낮과 밤의 길이가 같아짐
- 한로(寒露, 10월 8일경) – 찬 이슬이 내림
- 상강(霜降, 10월 24일경) – 서리가 내리기 시작
④ 겨울 (입동~ 대한)
- 입동(立冬, 11월 7일경) – 겨울이 시작됨
- 소설(小雪, 11월 22일경) – 첫눈이 내리기 시작
- 대설(大雪, 12월 7일경) – 큰 눈이 내리는 시기
- 동지(冬至, 12월 22일경) – 밤이 가장 긴 날
- 소한(小寒, 1월 6일경) – 겨울 중 가장 추운 시기의 시작
- 대한(大寒, 1월 20일경) – 일 년 중 가장 추운 때
3. 24절기의 활용과 문화
과거 농경사회에서는 24절기를 기준으로 농사를 짓고, 절기에 맞춘 명절과 풍습이 형성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 동지(冬至): 팥죽을 먹으며 액운을 막음
- 입춘(立春): ‘입춘대길(立春大吉)’을 써 붙이며 새해의 복을 기원
- 하지(夏至): 낮이 가장 길어, 옛날에는 부채를 선물하는 풍습이 있었음
- 추분(秋分): 한가위(추석) 전후로 곡식을 수확
현재는 농업의 기계화로 절기의 중요성이 다소 줄어들었지만, 여전히 계절의 변화를 이해하는 전통적 지표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반응형
'명언 • 고사성어• 고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사성어 : 끈기와 인내와 관련된 고사성어 (0) | 2025.04.03 |
---|---|
고사성어 : 손자병법에서 유래한 고사성어 (0) | 2025.04.02 |
명언 : 퀴리 부인 (Marie Curie)의 삶과 명언 (0) | 2025.04.01 |
고사성어 : 성실함과 관련 (2) | 2025.04.01 |
명언 : 탈무드에서 배우는 지혜와 명언 (3) | 2025.04.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