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서양사/미술사

앙리 마티스 (Matisse): 색채의 마술사ㆍ"야수파"의 아버지

by 당대 제일 2025. 7. 2.
반응형

"앙리 마티스 (Henri Matisse1869~195485)"20C "프랑스 미술"의 가장 위대한 거장 중, 1명으로, "야수파 (Fauvism)"의 창시자이자, "색채의 해방"을 이끈 혁명가입니다. 그는 형태의 정확한 재현보다는 "색채" 그 자체의 표현력과 조형적 가치를 극대화하여, 감각적이고, 조화로운 예술 세계를 구축했습니다. "피카소"와 함께 20C 미술의 "양대 산맥"으로 불리며, 현대 미술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습니다.

1. 1869~1905 : 늦깎이 화가ㆍ"색채"에 눈 뜨다.

1869, "프랑스" 북부의 "르카토-캉브레 시"에서 곡물 상인의 아들로 태어났습니다. 처음에는 "변호사"가 되기 위해 법학을 공부했고, 법률 사무소에서 일하기도 했습니다. 1890, "맹장염" 수술 후, 회복하는 동안, 어머니가 선물해 준 그림 도구를 만지면서, 뒤늦게 미술에 흥미를 느끼게 됩니다. 21세의 나이로 "미술의 길"에 들어선 그는 곧 법률가의 길을 포기하고, "파리"로 건너가 미술 학교에 입학했습니다.

처음에는 "전통적인 화법인상주의" 영향을 받으며, 그림을 그렸지만, 곧 자신만의 길을 찾기 시작했습니다. 특히 1905"남프랑스의 콜리우르"에서 "앙드레 드랭 (André Derain)"과 함께 작업하며, 밝고 순수한 색채를 과감하게 사용하는 실험을 했습니다.

1905, "파리"에서 열린 "살롱 도톤 (Salon d'Automne) 전시회"에 그를 비롯한 젊은 화가들의 작품이 출품되었습니다. 이들의 그림은 격렬하고, 대담하며, 사물의 고유색을 무시하고, 강렬한 원색을 사용하여, 형태를 왜곡시키는 특징을 보였습니다. 당시 한 비평가가 이들의 작품을 보고, "야수 (fauves) 우리에 갇힌 도나텔로 (Donatello) 같다"고 조롱했는데, 여기서 "야수파 (Fauvism)"라는 이름이 탄생했습니다. 그는 "야수파"의 리더이자, "정신적 지주"로 인정받았습니다.

'모자를 쓴 여인'(Woman with a Hat, 1905)

2. "야수파" 회화의 특징

"색채"의 해방

사물의 "실제 색깔"에 얽매이지 않고, 화가의 "감정내면세계"를 표현하기 위해, 강렬하고 순수한 원색을 사용했습니다. "색채"는 형태를 묘사하는 수단이 아니라, 그 자체로 독립적인 표현력을 가졌습니다.

거친 붓질단순화된 형태

"섬세한 묘사"보다는 대담하고, 거친 붓질로 화면을 채웠으며, "형태"를 단순화하여, 강력한 시각적 효과를 창출했습니다.

"원근법명암법"의 파괴

전통적인 "원근법명암법"을 무시하고, 평면적이고, 장식적인 화면을 선호했습니다.

주관적인 표현

""에 보이는 현실을 재현하기보다는, 화가의 "주관적인 감정시각적인 즐거움"을 강조했습니다.

'삶의 기쁨'(Le bonheur de vivre, 1905-1906)

3. "야수파" 야수파 시기 대표작

모자를 쓴 여인 (Woman with a Hat1905)

아내를 그린 이 작품은 "얼굴모자"에 사용된 강렬하고, 비현실적인 색채 (초록색보라색주황색 등), 당시 미술계를 충격에 빠뜨렸습니다.

삶의 기쁨 (Le bonheur de vivre1905~1906)

"목가적인 풍경" 속에서 나체의 인물들이 춤을 추고, 휴식을 취하는 모습을 그린 대작입니다. "강렬한 색채유기적인 선낙천적인 분위기"가 특징입니다.

'붉은 방'(The Red Studio, 1911)

4. 1906~1917 : 조화ㆍ균형의 탐구

"야수파" 활동 이후, 자신의 예술을 더욱 심화시키기 위해 끊임없이 탐구했습니다. "색채의 강렬함"을 유지하면서도, "화면의 조화와 균형장식적인 요소"에 더 큰 관심을 기울였습니다. 이 시기, "아프리카 미술이슬람 미술일본 미술"의 영향을 받으며, "형태의 단순화와 패턴의 중요성"을 깨달았습니다.

붉은 방 (The Red Studio1911)

"화가의 스튜디오 내부"를 온통 "붉은색"으로 칠하고, 그 안에 자신의 그림과 조각상 등을 배치한 작품입니다. "붉은색"은 공간의 깊이감을 없애고, 평면적인 느낌을 주지만, 동시에 따뜻하고 생동감 있는 분위기를 연출합니다.

(Dance1910)음악 (Music1910)

"러시아" 수집가 "세르게이 슈추킨"의 의뢰로 제작된 기념비적인 대작들입니다. ""은 단순화된 5명의 인물이 손을 잡고, 원을 그리며, 춤추는 모습을 강렬한 "파란색 하늘초록색 땅붉은색 인물"로 표현했습니다. 순수하고, 원시적인 에너지와 함께, 조화로운 움직임이 느껴집니다.

'춤'(Dance, 1910)

 

'음악'(Music, 1910)

5. 1917~1940년대 : "니스 (Nice)"의 시기

1917년부터, "프랑스 남부"의 휴양 도시 "니스 (Nice)"에 정착했습니다. "니스"의 밝은 햇살과 지중해의 풍경은 그의 그림에 더욱 밝고 경쾌한 분위기를 더했습니다. 이 시기 그는 "오달리스크 (Odalisque터키 하렘의 여인)" 주제로 한 연작들을 많이 그렸는데, 이는 "이국적인 분위기여성의 아름다움패턴과 색채의 조화"를 탐구한 것입니다.

푸른 블라우스 (Blue Blouse1936)

여인의 "얼굴"에 사용된 "과감한 색채단순화된 형태배경의 이국적인 패턴"이 조화롭게 어우러져 있습니다.

'푸른 블라우스'(Blue Blouse, 1936)

6. 1940년대 이후 : -아웃 (Cut-Out) 기법 (가위로 그린 그림)

1940년대 초, "건강 악화척추 수술"로 인해, 더 이상 ""으로 그림을 그리기 어려워졌습니다. 그러나 창작 열정은 꺾이지 않았고, 그는 새로운 표현 방식을 모색했습니다. 바로 "-아웃 (Cut-Out) 기법"입니다미리 "구아슈 물감"으로 칠해 놓은 종이를 가위로 오려내어, "콜라주"처럼 붙이는 방식으로 작업을 했습니다. 이 기법은 그에게 "색채형태"를 더욱 직접적이고 자유롭게 다룰 수 있는 해방감을 주었습니다. "단순화된 형태순수한 색면의 조화"는 그의 예술적 절정을 다시한번 보여주었습니다.

이카루스 (Icarus1947"재즈" 연작 중)

"파란색 배경" 위에 "검은색 인물"이 떨어지는 모습과 "노란색 별"이 대비를 이루는 작품으로, 간결한 형태와 강렬한 색채로 신화 속 비극을 표현합니다.

푸른 누드 연작 (Blue Nudes1952~1954)

"푸른색 종이"로 오려낸 "여성의 누드 형태"가 다양한 포즈로 배치되어 있습니다. 단순한 형태이지만, "생명력움직임"이 느껴지며, "색채형태"의 완벽한 조화를 보여줍니다.

방스 로자리오 경당 (Chapelle du Rosaire de Vence1948~1951)

그가 직접 설계하고, "스테인드글라스벽화제단" 등을 디자인한 성당입니다. 그의 "-아웃 기법색채에 대한 깊은 이해"가 공간 전체에 스며들어, 종교적이고 영적인 분위기를 연출합니다.

'이카루스'(Icarus, 1947, 『재즈』 연작 중)
'푸른 누드' 연작 (Blue Nudes, 1952-1954)

7. "앙리 마티스"의 예술적 유산

"야수파"의 아버지

"사물의 고유색"에서 벗어나, "색채"를 감정 표현과 조형의 주된 수단으로 활용함으로써, "야수파 운동"을 주도하고, "색채의 해방"을 선언했습니다.

"색채"의 거장

순수하고 강렬한 색채를 사용하여, 화면에 "생명력조화"를 불어넣었으며, "색채" 그 자체의 표현력을 극대화했습니다.

형태의 단순화장식성

대상을 단순화하고, 평면적으로 처리하며, "패턴장식적인 요소"를 통해, 화면의 "조화리듬감"을 강조했습니다.

예술삶의 통합

"삶의 기쁨행복"을 그림의 주요 주제로 삼아, "예술"이 우리의 삶을 풍요롭게 하고, 즐거움을 주어야 한다고 믿었습니다.

다양한 매체 실험

"회화"뿐만 아니라, "조각판화말년의 컷-아웃 기법"까지, 다양한 매체를 넘나들며, 창작의 영역을 확장했습니다.

20C 현대 미술에 미친 영향

그의 "색채형태"에 대한 혁신적인 접근 방식은 이후, "피카소추상 미술가들팝아트" 20C 미술의 다양한 흐름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습니다.

방스 로자리오 경당 (Chapelle du Rosaire de Vence, 1948-1951)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