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벨칸토 오페라의 거장ㆍ희극 오페라의 왕 >
"조아키노 안토니오 로시니 (Gioachino Antonio Rossiniㆍ1792~1868ㆍ76세)"는 19C 전반 "이탈리아 오페라"의 황금기를 이끈 가장 중요한 작곡가 중 1명입니다. 특히 그의 "오페라 부파 (희극 오페라)"는 전 유럽에 걸쳐 엄청난 인기를 누렸으며, "벨칸토 (Bel Canto)'"양식의 정수를 보여주었습니다. 짧은 기간 동안 엄청난 수의 "오페라"를 작곡했음에도 불구하고, "뛰어난 멜로디 감각ㆍ재치있는 극 전개ㆍ 화려한 기교"를 통해, "오페라"의 대중적 인기를 견인했습니다.
짧은 활동 기간 동안 40편에 가까운 "오페라"를 작곡하며, "이탈리아 오페라"를 국제적인 수준으로 끌어올렸습니다. 그의 "벨칸토 양식"과 음악적 재치는 "도니체티ㆍ벨리니"와 같은 후대 벨칸토 작곡가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비록 그의 오페라가 "베르디ㆍ바그너"의 심오한 드라마에 비해, 다소 가볍다는 평가를 받기도 하지만, 그 음악은 순수한 음악적 즐거움ㆍ인간적인 유머를 선사하며, 오늘날까지도 변함없이 사랑받고 있습니다. 그의 "오페라 서곡들"은 특히 "독립적인 연주곡"으로도 자주 연주되어, "클래식 음악의 대중화"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1. 생애ㆍ음악적 배경
"이탈리아 페자로"에서 음악가 집안에서 태어났습니다. 아버지는 "트럼펫 연주자"였고, 어머니는 "가수"였습니다. 어릴 때부터 음악적 재능을 보였으며, "볼로냐 음악원"에서 "첼로ㆍ호른ㆍ피아노ㆍ성악" 등을 배웠습니다. 특히 "성악가"로서 재능도 뛰어나, "아카데미아 필라르모니카 디 볼로냐"에 입학하여 인정을 받기도 했습니다.
18세에 첫 오페라 "결혼 보증서 (La cambiale di matrimonioㆍ1810)"를 발표하며 작곡가로 데뷔했고, 이후 약 20년간 엄청난 속도로 작품을 쏟아냈습니다. 그의 작곡 속도는 매우 빨라, 대표작 중 하나인 "세비야의 이발사"는 단 13일 만에 완성되었다고 전해집니다. 이러한 "속필"은 그의 천재성뿐만 아니라, 당시 "이탈리아 극장 시스템"의 요구 사항에 부응하기 위한 것이기도 했습니다.
1829년, 오페라 "윌리엄 텔"을 마지막으로 37세의 젊은 나이에 "오페라 작곡"에서 사실상 은퇴했습니다. 이후 "파리"에서 미식가이자, 살롱 문화를 이끄는 "예술 애호가"로 남은 여생을 풍요롭게 보냈습니다. 이러한 "조기 은퇴"는 당시 많은 사람들을 놀라게 했지만, 그는 이미 상당한 부ㆍ명성을 얻었으며, 건강상의 문제 (우울증 등)와 당시 "오페라 시장"의 변화도 한몫했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말년에는 몇몇 "종교 음악ㆍ실내악곡"을 작곡하기도 했습니다.
2. 주요 "오페라" 작품
"오페라 부파"에서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하지만, "오페라 세리아ㆍ프랑스 그랜드 오페라" 형식에서도 걸작을 남겼습니다.
① 오페라 "탄크레디 (Tancrediㆍ1813)" 오페라 세리아
1번째 큰 성공을 안겨준 "오페라 세리아"입니다. 비극적인 내용과 웅장한 "아리아"가 특징입니다. "디 타르비데 조이 (Di tanti palpiti)"라는 "아리아"는 초연 당시 엄청난 인기를 얻어 유럽 전역에서 유행가처럼 불렸습니다. 이 작품은 그가 희극뿐만 아니라, 진지한 오페라에서도 뛰어난 재능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주었습니다.
② 오페라 "이탈리아의 터키인 (Il turco in Italiaㆍ1814)" 오페라 부파
"터키 왕자"가 "이탈리아"를 방문하면서 벌어지는 혼란스러운 사랑 이야기를 다룹니다. 이국적인 분위기와 함께, 특유의 재치 있는 전개가 돋보이는 작품입니다.
③ 오페라 "세비야의 이발사 (Il barbiere di Sivigliaㆍ1816)" 오페라 부파
가장 대표적인 "오페라"이자, "오페라 부파의 정점"으로 꼽히는 걸작입니다. "프랑스" 작가 "보마르셰"의 희곡을 바탕으로 젊은 "알마비바 백작"과 아름다운 "로지나"의 사랑을 "이발사 피가로"가 도와주는 유쾌한 해프닝을 다룹니다. 이 작품은 단 13일 만에 작곡되었다는 일화로도 유명하며, 초연은 "파이시엘로"의 동명 오페라와의 경쟁 등으로 인해 실패했지만, 곧이어 대성공을 거두며, 지금까지도 가장 많이 공연되는 오페라 중 하나입니다. 아래는 "유명 아리아" 장면입니다.
• 나는 거리의 만능 일꾼 (Largo al factotum della città) : 주인공 "피가로"의 활기차고 자랑스러운 아리아로, 오페라를 넘어 대중문화에서도 자주 인용됩니다.
• 방금 들린 그 목소리 (Una voce poco fa) : "로지나"의 아름답고 기교적인 아리아로, "벨칸토 소프라노"의 기량을 보여줍니다.
• 서곡 : "오페라 서곡" 중, 가장 유명하고 경쾌한 서곡 중 하나로, "로시니 크레셴도"가 잘 드러납니다.
• 대중적 인지도 : "애니메이션 벅스 버니" 등에 삽입되어, 더욱 대중적인 인지도를 얻었으며, 코믹하고 유쾌한 상황을 연출할 때, 자주 사용됩니다.
④ 오페라 "신데렐라 (La Cenerentolaㆍ1817)" 오페라 부파
"신데렐라 이야기"를 바탕으로 하지만, 마법적인 요소 (요정 대모ㆍ유리 구두 등) 대신, 인간적인 지혜ㆍ유머를 강조합니다. "신데렐라ㆍ왕자 돈 라미로"의 사랑을 다루며, 다소 어두운 원작의 분위기를 그 특유의 밝고 경쾌한 음악으로 풀어냈습니다. 특히 "신데렐라 역"은 고난도의 "콜로라투라 메조소프라노"가 소화해야 하는 역할입니다.
⑤ 오페라 "도둑까치 (La gazza ladraㆍ1817)
비극적인 요소와 코믹한 요소가 섞인 오페라로, "누명을 쓴 하녀의 이야기"를 다룹니다. 특히 "서곡"이 매우 유명하며, 행진곡풍의 활기찬 리듬과 "로시니 크레셴도"가 인상적입니다. 이 서곡은 영화 "시계태엽 오렌지"에도 삽입되어, 대중에게 강렬한 인상을 남겼습니다.
⑥ 오페라 "오텔로 (Otelloㆍ1816) 오페라 세리아
"셰익스피어"의 비극 "오셀로"를 바탕으로 한 작품입니다. 비록 나중에 "베르디의 오텔로"에 가려져 오늘날에는 자주 공연되지 않지만, 그 특유의 벨칸토 기교와 비극적 감정 표현이 돋보이는 중요한 "오페라 세리아"입니다. "3막 버드나무의 노래"는 "데스데모나의 비극"을 예고하는 아름답고 슬픈 아리아입니다.
⑦ 오페라 "윌리엄 텔 (Guillaume Tellㆍ1829)" 프랑스 그랜드 오페라
"오페라 작곡"에서 은퇴하기 직전, "프랑스 파리"에서 초연된 그의 마지막 오페라입니다. "스위스"의 전설적인 영웅 "윌리엄 텔"의 이야기를 다루며, 4막 구성의 대규모 오페라입니다. "프랑스 그랜드 오페라"의 양식에 맞춰, "발레ㆍ대규모 합창ㆍ웅장한 관현악" 등이 특징입니다.
• 유명 아리아 장면 : "서곡"이 오페라보다 훨씬 더 유명합니다. 4개의 독립적인 부분 (새벽ㆍ폭풍ㆍ고요ㆍ스위스군의 행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특히 마지막 "스위스군의 행진"은 "론 레인저 테마"로 알려져, "영화ㆍTV 프로그램ㆍ광고" 등 다양한 매체에 삽입되어 전 세계적으로 매우 높은 인지도를 자랑합니다.
• 대중적 인지도 : 특히 "스위스군의 행진" 부분은 활기차고 경쾌한 분위기, 서부극의 박진감 넘치는 장면, 또는 스포츠 경기 등에 자주 사용되어, 클래식 음악을 넘어 대중문화의 아이콘이 되었습니다.
3. "로시니( Rossini)" 오페라의 특징
"로시니 양식"을 구축했으며, 이는 "낭만주의" 초반, "이탈리아 오페라"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① "벨칸토 (아름다운 노래)" 양식의 정수
"아름다운 노래"를 의미하는 "벨칸토"는 성악가의 뛰어난 가창력과 기교를 강조하는 양식입니다. 그는 화려한 "콜로라투라 (빠르고 복잡한 기교)ㆍ길고 유려한 레가토 (이음줄)ㆍ넓은 음역대"를 활용하여, 성악가들의 기량을 최대한 뽐낼 수 있도록 했습니다.
② "로시니 크레셴도 (Rossini Crescendo)"
여러 악기가 점차적으로 더해지고, 음량과 속도가 동시에 증가하며, 격렬하게 절정에 도달하는 음악적 기법입니다. 이는 특히 "오페라 서곡"에서 많이 사용되어, 극의 활기찬 분위기를 조성하고 청중의 기대를 고조시키는데 효과적이었습니다.
③ 경쾌하고, 생동감 넘치는 리듬
그의 음악은 밝고 활기찬 리듬감이 특징입니다. 특히 "오페라 부파"에서는 빠른 템포와 재치 있는 리듬으로 코믹한 상황을 더욱 부각시킵니다.
④ 멜로디의 천재성
귀에 쏙쏙 들어오는 아름답고, 매력적인 멜로디를 창조하는데 탁월했습니다. 그의 "아리아ㆍ앙상블"은 듣는 즉시 흥얼거릴 수 있을 정도로 강한 중독성을 지녔습니다.
⑤ "앙상블"의 발전
"모차르트"와 마찬가지로 그 역시 "오페라 부파"에서 "앙상블 장면"을 매우 중요하게 다루었습니다. 여러 인물이 동시에 노래하며, 각자의 감정이나 상황을 표현하는 복잡하고, 유기적인 "앙상블"은 극의 재미를 더합니다.
⑥ 표준화된 형식과 빠른 작곡
특정 "아리아나 장면"의 형식을 어느 정도 정형화하여 빠르게 작곡할 수 있었습니다. 물론 이것이 비판의 대상이 되기도 했지만, 당시 "극장 시스템"에 필요한 다작을 가능하게 했습니다.
'서양사 > 음악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슈베르트 (Schubert): 가곡의 왕ㆍ낭만주의의 선구자 (2) | 2025.06.07 |
---|---|
"오페라 (Opera)"의 종류ㆍ특징 (2) | 2025.06.06 |
베버 (Weber): 독일 낭만주의 오페라의 아버지 (2) | 2025.06.04 |
베토벤 (Beethoven): 교향곡ㆍ협주곡ㆍ유명한 소품들 (1) | 2025.06.03 |
모차르트 : 교향곡 (Symphony)과 대중적 명곡들 (0) | 2025.06.02 |
댓글